working memory

Working Memory 작업 기억Working memory이란 인지 시스템의 일종으로, 정보를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제한된 기억 공간입니다. 단기 기억Short-term memory와 동의어로 여겨지기도 하고, 유의어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위험 스트레스 작업 기억은 스트레스로 인해 손상됩니다. 이는 자명하며 관련된 연구는 너무 다양해서, 직접 찾아보시는 편이 좋으리라 생각합니다. 알코올 작업 기억은 과도한 알코올에 의한 뇌손상에 의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다만 작업 기억에 대한 알코올의 영향에 성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알코올 섭취 후 언어 작업 기억 과제에서 더 나은 성과를 보이지만 뇌 활동이 적은 것으로 나타난 공간 작업 기억 과제에서는 더 낮은 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노년층은 알코올이 작업 기억에 미치는 영향에 다른 사람들보다 더 취약합니다. ...

October 1, 2025

Timestamping

Trusted Timestamping Trusted Timestamping(이후 타임스탬핑)은 안전하게 데이터(문서 포함)의 생성 및 변조를 추적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특정 데이터가 어느 타임스탬프 시점부터 존재했음을 보증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간단하게 생각하면 인터넷에 올린 게시글과 비슷합니다. 거기에도 마찬가지로 타임스탬프가 남고, 해당 게시글이 게시된 서버 소유자를 믿을 수 있는 한 해당 타임스탬프 시점부터 존재했음을 확신할 수 있습니다. 다만 본 문서의 타임스탬핑은 좀 더 엄격합니다. TSA, Time Stamping Authority 위의 인터넷에 올리는 게시글과 유사한 방법입니다. 다만 아무 게시물 서버 운영자가 아닌, 신뢰할 수 있는 TSA를 사용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RFC 3161 및 새로운 ANSI ASC X9.95 Standard를 참고하세요. ...

September 21, 2025

KISA WHOIS와 netType

KISA WHOIS와 netType 서론 KISA(한국인터넷진흥원,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는 IT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으로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는데, 국가 인터넷주소 관리기관으로서 인터넷주소의 정보 검색 서비스인 WHOIS를 제공합니다. 인터넷주소 관리기관으로는 최상위 총괄관리기관 IANA가 있고, 그 아래로 대륙의 인터넷주소자원을 관리하는 APNIC. 그 아래에 한국의 인터넷주소 관리기관인 KISA가 있습니다. 이러한 관리기관들은 공개적으로 WHOIS 서비스를 제공하며, APNIC 역시 WHOIS를 지원합니다. 하지만 KISA의 WHOIS와 다른 WHOIS의 쿼리 결과는 다소 다릅니다. APNIC 등의 WHOIS 서비스는 KISA의 WHOIS를 부분적으로 가져오기 때문입니다. APNIC에서 직접 WHOIS 검색을 해보면, ...

May 14, 2025

자해의 분석

서론 자해(Self-injury, Self-harm)는 스스로 몸에 상처를 내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행동은 여러 이유에 의해 촉발되지만, 본 문서에서는 주로 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에 의한 것을 서술합니다. 필자는 독자분들께 자해라는 행위에 대해 보다 상세하거나 혹은 일반적이지 않은 다른 접근 방법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본 문서는 다른 시각의 접근을 알아보고 싶은 독자분들, 혹은 이러한 것의 개념에 대해 알고 싶은 독자분을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필자는 그 어떤 전문가도 아닙니다. 본 문서에 적힌 내용을 과도하게 신뢰하지 마세요. 본론 관련 지식이 있으시다면 아실 수도 있지만, 대중의 인식과는 달리 의외로 자해라는 행위 자체는 자살 의도와는 거리가 먼 행위입니다. 자해를 하는 사람은 보통 자살 의도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Self-harm, Self-injury 등의 용어는 기본적으로 NSSI. NonSuicidal Self-Injury로 인식됩니다. 다만 물론 자해는 자살의 강한 징후입니다. 자해를 한 사람의 자살률은 유의하게 높습니다.). 하지만 대중은 대체로 자해=자살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

February 22, 2025

HTTP 리다이렉트와 메소드

서론 웹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는 HTTP 프로토콜에는 3XX 상태 코드로 이루어지는 redirect 응답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redirect 응답은 클라이언트를 다른 URI에 접속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를 받은 클라이언트는 조건에 따라 해당 redirect 응답을 따라갑니다. 하지만 HTTP 프로토콜의 redirection에는 모호함이 존재합니다. 바로 클라이언트가 사용한 메소드를 보존할지(method-preserving)에 관한 것입니다. 본 문서에서는 RFC 문서와 함께 이러한 내용을 살펴봅니다. 예상 독자는 HTTP redirect 구현을 직접 하시는, 혹은 하실 분(HTTP 라이브러리를 구현한다거나…). 그리고 이런 자세한 내용에 관심이 많으신 분입니다. ...

December 8, 2024

Lua루아 내장 개론

서론 Lua 언어는 가벼운, 멀티 패러다임에, 특히 내장용 스크립트 언어로서 디자인되었습니다. 오랜 시간동안 적지 않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아 왔지만, 떨어지는 접근성과 그 난이도 또 적은 정보로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습니다. 특히 ‘내장용 스크립트’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필자는 생각합니다. 본 문서에서는 그러한 Lua의 내장에 관한 기초적인 정보를 전달하고자 합니다. 내장용 스크립트 제일 먼저 말하고 싶은 것은,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근본적으로’ 스크립팅을 위해 설계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작은 규모라면 몰라도 매우 대규모의 스크립트를,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내장해 버리는 것은 생산성과 구조 등의 관점에서 항상 좋은 접근법이라고 하기는 어렵습니다. 관련된 경험이 있으신 분들은 공감하시리라 생각합니다. ...

December 8, 2024

웹 서버 분석하기의 기초

서론 웹 서버는 HTTP/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합니다. 그런 서버를 분석하는 일에는 방법도 도구도 많습니다만, 필자는 본 문서에서 필자의 경험에 기초한 기본적인 수준의 접근 방법을 안내하고자 합니다. 본 문서는 기본적인 웹 서버의 정보 분석 방법을 기술합니다. 상세한 웹 설계 방법론 등은 다루지 않으며, 수월한 이해를 위해서는 기초적인 웹 구조의 이해가 필요합니다. 도메인 DNS lookup 웹 서버는 십중팔구 도메인을 갖습니다. 아이피보다 훨씬 알기도 기억하기도 쉬운 별칭이기 때문입니다. 그러한 도메인은 웹 서버를 대표하며 웹 서버 분석시 제일 먼저 맞닥뜨리게 되는 부분입니다. ...

November 14, 2024

Mirrorboard, 한 손 키보드 레이아웃

서론 본 문서는 독자 분께서 기본적인 키보드에 관한 지식을 갖고, Dvorak 및 Colemak 등의 대체 키보드 레이아웃들에 흥미가 있으리라 가정합니다. 키보드 타이핑을 자주 하는 사람들에게 있어 키보드 및 키보드 배열은 가히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 선택이자 개인의 취향이며 기호입니다. 족히 20년도 전에도 있었던 키보드 배열에 관한 선택, 논쟁은 현재까지도 계속해서 이어져 오고 있습니다. 다만 그럼에도 아직까지 배열에 관한 토론이 뜨거운 것은, 사람에 따라 그 사람의 환경과 그 가치관, 그리고 필연적인 새로운 배열을 익히는 데에 필요한 학습량- 러닝커브 때문일 것입니다. ...

November 7, 2024

경조증과 조증의 구분

서론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일상화 된 21세기 현대 사회의 현대인들은 만성적인 스트레스, 그리고 정신질환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조증(Mania)은, 흔히 양극성장애(조울증, Bipolar disorder) 삽화의 일부로서 조증과 경조증(Hypomania)으로 분리하여 진단되고 있는데요. 아무래도 그 두 질환의 차이점에 애매모호한 부분이 있어 해당 질환을 진단받은 환자 분께서 헷갈리는 경우가 종종 보입니다. 본 문서는 해당 오해를 바로잡고, 두 질환에 대해 올바른 지식을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필자는 그 어떤 전문가도 아닙니다. 본 문서에 적힌 내용을 과도하게 신뢰하지 마세요. ...

November 7, 2024

SOCKS5 Protocol

SOCKS5 읽기에 앞서 본 문서는 SOCKS5의 Protocol에 관해 기술합니다. 독자 분께서 이미 일반적인 개념에 대해서는 이미 알고 계신다고 가정하므로, 필요하다면 다른 문서, 위키피디아 등을 참고하세요. UDP Protocol에 관한 내용은 다소 생략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SOCKS5 위키피디아 혹은 SOCKS5의 일반적인 프로토콜에 관해 서술하는 RFC1928 및 Username/Password 인증에 관해 서술하는 RFC1929를 참고하세요. Protocol 개요 SOCKS5 Protocol은 무척 간단합니다. 제일 먼저 클라이언트 측에서 인증 정보를 포함한 첫 메세지를 보내고 응답을 받고 인증을 하고 목표 서버의 정보를 보내고 응답을 받으면 끝입니다. 첫 번째 통신 클라이언트 VER NMETHODS METHODS 1 byte 1 byte 1 to 255 byte 첫 메세지는 위와 같이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됩니다. SOCKS5 버전을 나타내는 VER, METHODS의 길이를 나타내는 NMETHODS, 그리고 METHODS죠. ...

November 2, 2024